가끔 SNS를 통해 소개되는 성공한 사람들의 사진과 그들의 일상을 보면 부러움이 일어난다. 내가 알 필요 없는 그들의 풍성한 일정과 그들이 소유한 많은 것들이 멋지게 보인다. 잘 찍은 사진에는 그들의 자랑이 묻어있다. 그런데 그것을 보면 부럽다 못해 자꾸만 내가 초라해 지는 느낌도 갖일 때가 있다.
인터넷 기사에는 MZ세대의 양극화를 우려한다. MZ세대 중 상위 20%의 재산이 하위 20%에 해당하는 사람들보다 35배가 많다는 것이다. 20대와 30대는 사회의 중추 세대로 자리잡을 중요한 계층이다. 이들이 곧 10년 20년 사이에 사회의 중요 요직을 차지하며 리더의 역할을 할 준비세대다. 이들은 가능성이 많은 세대고 얼마든지 자신의 미래를 꿈꾸는 세대다. 그런데 이들 간에도 심각한 양극화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들의 양극화가 그들의 성취만으로 해석되지 않기 때문에 더 문제가 된다. 그들의 재산의 바탕에는 부모의 배경이 존재한다. 아직 20대가 큰 자산을 만들기에는 시간적으로 충분하지 않은 데도 이미 격차가 심각하다는 것이다. 즉 부모세대의 재삼을 물려 받은 그들은 세상에서 말하는 출발점이 다른 것에 대한 허탈감이 없을 수 없다.
이보다 더 아랫 세대의 뉴스도 그닥 좋지 않다.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전문직으로 꼽는 의사가 되는 의대 신입생의 80%가 금수저에 해당하는 상위 20%의 자녀들이라고 한다. 그들의 부모의 한달 수입은 920만원이 넘는 사람들로 국가에서 주는 장학금 수혜를 받을 수 없는 대상이라고 한다. 이미 잘 알려진 내용일 수 있다. 우리나라 이공계 고등학생의 1순위 대학은 의대다. 개천에서 용난다는 말은 옛이야기다.
인간의 욕망은 같은 빛깔이다. 내가 가지고 싶은 것은 남도 가지고 싶을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모두가 그것을 소유할 수없다. 남의 눈치를 보지 않는 오늘날의 세계는 우리를 알릴 기회도 더 많아졌다. 그런데 알면 알수록 부럽다 못해 세상이 원망스럽다면 문제다. '남과 비교하지 말라'라는 고고한 말이 조언이 되지 않으며, 위로도 아니다. 그만큼 우리는 자신을 과시하여 드러내는 일에 쉽게 노출되어 살아간다.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게 보여지는 세상에서 많은 정보들은 사람들을 필요없이 괴롭게 한다. 특히 가진 것이 적은 쪽에서 더 괴롭다. 많이 가졌다고 행복할지는 모르지만 자꾸만 커져가는 격차에 서로가 불편한 사회가 되어간다. 불만은 쌓이고 가만히 있으면 더 많은 것을 잃을 것 같기도하고 본인에게 주어지지 않는 것들이 미워지기도 한다. 사회의 불안이란 이런 곳에서 출발할 것이다. 자신을 더 수양해서 비교 자체를 하지 말라고 말하는 것은 눈을 없애라는 말고 별반 다르지 않다. 사람들의 욕망은 같은 색깔이다. 그래서 그 색으로 나도 물들고 싶지만 나에게는 물들여지지 않아 차이가 확연해 지는 상태를 참기에는 사람들이 쉽게 초라해진다.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을까? 그런 것들이 무의미해지는 것은 무엇을 통해서 일까? 공평이 무조건 답일까? 사람들의 마음은 어떻게 평정심을 찾고 평화로워질 수 있을까? 양극화의 비극은 사람들을 비교를 통해 의미를 상실하게 만들거나 삶의 의욕을 잃게 만드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자 봉지를 열면 멈추지 않는 나의 심리 (0) | 2021.11.03 |
---|---|
참으로 사람의 사람의 일생은 덧없다. (0) | 2021.10.26 |
한글, 우리 생각을 담는 글자 (0) | 2021.10.10 |
인천대 이형우 교수님을 뵙고 (0) | 2021.10.06 |
2021.10.3. 블로그 글쓰기를 다시 열심히 (0) | 2021.10.04 |